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DNA3

#3 DNA 전기영동(DNA electrophoresis) 두 번째, 필요 시약 및 재료들의 대한 설명 지난 포스팅에서 말한대로, 이번에는 DNA 전기영동 실험을 하면서 필요한 시약들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 1. 전기영동 buffer(완충용액) - 전기장에서 DNA가 그냥 이동할리 없겠죠? DNA가 타고 이동할 매개체가 필요하겠고 그 매개체가 DNA의 상태를 유지시켜줘야 하는 pH 및 조건을 갖추어야 할거에요. 그 매개체를 우리는 Buffer(완충용액) 이라고 부릅니다. 완충용액의 이온 강도가 너무 낮게되면 DNA 이동이 느리고, 강도가 너무 높다면 열이 발생하게 되어 심한 경우에 Gel이 녹거나 DNA 구조가 변형될 수 있습니다. 주로 많이 사용하는 버퍼로는 Tris-acetate(TAE)와 Tris-borate(TBE)가 있습니다. 2. DNA staining dye - 전기영동 실험 후 관찰은 암전.. 2020. 2. 27.
#2 DNA 전기영동(DNA electrophoresis) 첫 번째, 기본 원리 및 실험방법 DNA 전기영동(Agarose gel eletrophoresis) DNA 전기영동은 바이오실험실에서 DNA를 분석할 때 필요한 아주 기본적인 실험입니다. 생물학 전공을 하시는 분들은 기본으로 깔고 가셔야 하는 실험이니 여기서 한 번 알아보도록 하죠! 우선, 전기영동이란? - DNA 전기영동방법이라 DNA를 크기에 따라서 분리하는 방법으로, DNA가 backbone의 phosphate group 때문에 전기영동에 사용되는 buffer 속에서 음전하를 띄고 있는 점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입니다. 크로마토그래피의 개념과 비슷하죠. 이 음전하를 전기장(electric field)에 놓게 되면 양의 전극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. 이 때 DNA 분자량에 따라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점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이 바로 .. 2020. 2. 26.
#1 PCR (Polymerase Chain Reaction) PCR (Polymerase Chain Reaction) 이란? - DNA 또는 RNA의 특정영역을 시험과 내에 대량으로 증폭하는 기술입니다. 약자 그대로 dna 를 연쇄반응(chain reaction)을 통하여 복제, 증폭해 나가는 기술입니다. 증폭을 통해서 같은 실험을 빠른 시간내에 여러 번 반복실험 할 수 있게 해주죠. pcr 기술이 나온 이후로 바이오 기술의 발전속도가 대폭 증가하였습니다. PCR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살펴 보겠습니다. (1) Denaturation (2) Annealing (3) Extension 3가지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첫 번째 Denaturtion 단계에서는 열을 통하여 DNA를 분리시켜주는 작업이 진행됩니다. 두 가닥의 DNA를 94도씨에서 15~30초간 처리하여 각.. 2020. 2. 26.
반응형